- 데이터 통신(Data Communication)
: 컴퓨터와 각종 기기 사이에서 디지털 형태로 표현된 송수신 하는 것
- 정보 통신(Information Community)
: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결합에 의해 통신처리 기능과 정보처리 기능은 물론 정보의 변환, 저장 과정이 추가된 형태의 통신
- 통신의 3요소
: 정보원(Source), 수신원(Destination), 전송 매체(Transmission Media)
-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징
: 고속, 고품질의 전송이 가능하다
: 고도의 오류 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신뢰도가 높다
: 대형 컴퓨터와 대용량 파일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
: 분산처리, 정보교환, 통신회선을 효율적 이용, 대용량, 광대역 전송 가능
-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발달 과정
: 전신기 - 모스부호
: 전화 - 벨
: 무선 전신기
: SAGE(Semi-Automatic Ground Environment) - 최소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(미국 공군)
: SABRE(Semi-Automatic Business Research Environment) - 최초의 상업용 데이터 통신
: CTSS(Compatible Time Sharing System)
: ARPANET(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Network)
: ALOHA(Additive Links On-line Hawaii Area) - 회선 제어 방식 중 경쟁 방식의 모체
: SNA(System Network Architecture) - IBM
* 데이터 발생 현장에 설치된 단말기가 원격지에 설치된 컴퓨터와 통신회선으로 직접 연결된 형태를 온라인 형태라고 한다.
2.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
- 단말장치(DTE; Data Terminal Equipment)
: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장치
: 입출력 기능, 전송 제어 기능, 기억 기능 수행
- 신호 변환장치(DCE; Data Circuit Equipment)
: 회선 종단 장치, 전송장치
: 전화, MODEM, CODEC, DSU 등
- 통신 제어장치(CCU; Communication Control Unit)
: 통신 회선과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
: 전송오류검출, 회선감시등과 같은 통신제어 기능을 수행
* 단말장치, 전송장치(신호 변환 장치), 통신제어장치
* 그림 잘보고 DTE, DCE, CCU 영어로 잘 외우기
3. 통신 회선
- 유선 매체
1. 꼬임선(Twisted Pair Wire)
: 전기적 간섭 현상을 줄이기 위해 균일하게 감겨있는 형태의 테이블
2. 동축 케이블(Coaxial Cable)
: 중심 도체를 플라스틱 절연체를 이용하여 감싸고, 이를 다시 외부도체를 이용하여 감싸는 형태로 구성
3. 광섬유 케이블(Optional Fiber Cable)
: 유리를 원료로 하여 제작된 가느다란 광섬유를 여러 가닥으로 묶어서 케이블 형태로 만드는 것으로, 광 케이블이라고도 함 (빛을 이용), 거의 좋다, 비싸다, 고도의 기술 필요
: 세심 경량성, 광대역성, 고속성, 전기적 비유도성
- 무선 매체
1. 라디오파
: 통신 장비의 이동이 빈번하고 통신 회선을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 간의 통신에 이용되도록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식
: TV난 휴대폰의 음성 전송에 이용
2. 위성 마이크로파
: 지상에서 쏘아 올린 마이크로 주파수를 통신 위성을 통해 변환, 증폭한 후 다른 주파수로 지상에 송신하는 방식으로 위성 통신에 사용
: 적도면 상공 약 35,800Km 정도 높이에 위치한다
: 위성 통신 시스템은 통신 위성, 지구국, 채널로 구성된다
: 대역폭이 넓어 고속, 대용량으로 통신이 가능하고, 통신 비용이 저렴하다
: 데이터 전송 시 반드시 통신 위성을 거쳐야 하므로, 전송 지연 시간이 길다(축구 중계)
: 수신용 안테나만 있으면 누구나 통신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보안에 취약
: FDMA(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) -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
: TDMA(Time Division Multiple Access) - 시 분할 다중접속
: CDMA(Code Division Multiple Access) - 코드 분할 다중 접속
4. 통신 제어장치(CCU; Communication Control Unit)
: 데이터 전송 회선과 주컴퓨터 사이에 위치하여, 컴퓨터가 데이터 처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대신해 데이터 전송에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, 전송 문자의 조립과 분해
1. 전송 제어
: 통신 제어장치는 통신 접속을 위한 전송제어를 수행
: 다중 접속 제어, 교환 접속 제어, 통신 방식 제어, 우회 중계 회선 설정(경로 설정)
2. 동기 및 오류 제어
: 통신 제어장치는 전송하는 정보에 대해 제어를 수행
: 동기제어, 오류제어, 흐름제어, 응답제어, 정보전송단위의 정합, 데이터 신호의 직, 병렬 변환, 투과성, 정보표시 형식의 변환, 우선권 제어
3. 그 밖에 기능
: 제어 정보 식별, 기밀 보호, 관리 기능
- 통신 제어장치의 종류
1. 통신 제어장치(CCU; Communication Control Unit)
: 전송 문자의 조립과 분해
2. 통신 제어 처리 장치(CCP;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or)
3. 전위처리기(FEP; Front End Processor)
- 통신 제어장치의 분류
: 통신 제어장치는 송,수신 데이터 버퍼링 방식에 따라 분류 됨
댓글 없음:
댓글 쓰기